본문 바로가기

etc54

Windows 11에서, 입력 받는 창에 따라 IME 설정이 자동으로 바뀌는 문제 해결 방법 - 만약 입력 방법 전환 섹션의 각 앱 창에 다른 입력 방법을 직접 사용 체크가 되어있다면 해제 해줘야 한다.    공간이 남아 주저리주저리 하자면.. 나는 현재 zmk 기반의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어서 키보드 레이아웃을 직접 정할 수 있는데, 콜맥 레이아웃을 항상 사용해보고 싶었지만 윈도우가 창 전환을 할 때마다 언어 설정이 각자 달라 레이아웃간 한영 전환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며칠간 찾아다녔는데, 위 이미지의 설정까진 쉽게 나왔었지만 적용되지 않아 한참 애를 먹던 중, 의문의 동남아 선생님 유튜브가 아래 이미지의 설정 방법을 알려주셨고, 적용해보니 바로 수정이 됐다.. 동남아 선생님은 대체 모르는게 뭐지..... 아무튼 살았으니 이제 콜맥 입문하러 가볼 시간이 되었다! 야호.. 2024. 7. 13.
Wakfreeca - 이틀 정도 투자해서 작은 chrome extension을 만들어봤다 Wakfreeca Wakfreeca UI utility for afreecatv chrome.google.com GitHub - Zabee52/Wakfreeca: AfreecaTV에서 사용할 유틸리티 AfreecaTV에서 사용할 유틸리티. Contribute to Zabee52/Wakfreeca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그냥 아프리카TV의 채팅창을 트위치처럼 조금 고쳐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chrome extension을 기획, 개발 포함해서 이틀정도 투자해서 만들어봤다. 이유는.. 원래 평소에 왁굳형의 방송을 많이 보는데, 트위치가 이번에 한국에서 사업을 철수하기로 결정하고 나서 왁굳형은 아프리카TV로 이적할 생각을 하고 있었기.. 2023. 12. 29.
[프로젝트] 기존에 하던 프로젝트를 엎고 새로 시작하는 궁시렁 프로젝트 이전에 진행하던 프로젝트가 있었다. 회사에서 그동안 배웠던 것들을 한 번씩 돌아보며 정리하자는 의도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만들기 시작했었는데, 중간에 엎었다. 아무리 개인프로젝트라고 해도 가치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가치를 담지 못 하는 프로젝트는 그저 프랙티스에 지나지 않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혼동한 결과 프로젝트를 버리게 되는 결과를 만들게 되었다. 이렇게 된 관계로, 이제 프로젝트를 처음부터 다시 좀 해보려고 하는데, 뭘 하려고 하느느냐... 그건 못 정했다. 하지만 시작점이자 최종은 결국 가치를 가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무언가를 만드는 일이 될 것이다. 그래서 일단 프레임만 짜면서 아이디어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프레임부터 정리 1. gRPC를 써보고자 한다. 가능하다면 gRPC가 주장.. 2022. 10. 23.
항해99 스프링 기술매니저 후기 사실 스프링 기술매니저로 지원했지만 스프링 지식은 없는.. 사짜 매니저로 3주간 활동했다. 하루에 두 시간만 하면 된다고 해서 편한 마음으로 용돈벌이로 해야지 하는 마음에 지원한 거였는데 편하게 할 순 없는 일이었다.. ㅋㅋ 항해99 과정은 언제나 사람을 고뇌하게 만든다. 커리큘럼이 매 기수마다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곤 하지만 계속해서 부족한 점은 있고, 그 중 특히 자율학습에 대해서는 수강생들을 마치 돈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게 만든다. 나야 다른 방식으로 생각을 하고 과정에 임했으니 괜찮았지만, 누군가에겐 정말 의미없는 시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느낄 것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진도를 확실하게 따라가지 못 하는 사람들에게 티칭을 해줄 사람이 필요했고, 이것은 꽤나 중요한 임무였다. 그래.. 알바 치.. 2022. 10. 22.
작은 아이디어를 짤막 메모 프로젝트에 대한건 아니고.. 프로젝트에서 쓸 구조에 대해서 조금만 메모 귀찮아서 글로.. 서비스를 마이크로서비스로 찢어놓을 생각인데, 그 구조를 조금만 쓴다. 사용자 - 게이트웨이 - 서비스 사용자는 요청을 보냄. 그리고 polling 상태로 돌입.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소켓 등) 데이터를 돌려받을 준비를 함. 게이트웨이는 서비스에게 데이터를 보낼 때 데이터를 누구에게 돌려줄지 명시해서 보냄. 그리고 요청 보내면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끝. stateless 하는 것. 서비스는 작업이 끝나면 게이트웨이에게 처음 받았던 누구에게 돌려줄지 명시해놓은 값을 그대로 되돌려줌. 게이트웨이는 받은 요청을 기반으로 response함. 즉, 사용자가 값을 돌려받을 준비를 하는 것이지, 게이트웨이가 결과가 튀어나올때까지 .. 2022. 5. 5.
프로젝트 이름은 안 정했는데 뭘 할 지도 안 정해졌다. 사실 아무것도 없는 것. ㅎㅎ;; 그냥 개인프로젝트가 하고 싶어졌다. 경험을 위해 하는 프로젝트인만큼 최대한 많은 스택을 넓고 얕게 사용해보는 것을 목표로 해서 진행해보고자 한다. 간단한 웹 프로젝트인데, 프로젝트 이름은 뭘로 하지? 음... 다비? 주제는 크롤링과 API를 이용해 해당 사용자에 대한 기사들, 다양한 SNS를 하나로 볼 수 있도록 해볼 예정이다. 할 수 있다면 원하는 SNS에 글을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우선은 한 사람에게 전부 맞춰서 만들어볼거다. 부하관리도 좀 해보고 싶고. 스택은 프론트는 Vue, 백은 Go. DBMS는 MongoDB와 MySQL 혼용. 이 정도로 생각해놨다. 아키텍처는... 일단은 MSA로 보고 있다. 하나의 게이트웨이가 요청과.. 2022. 4. 26.